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난번에 인공감미료 중 수크랄로스에 대해 설명했는데,

오늘은 살면서 가장 많이 들어보셨을 인공 합성감미료 사카린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인공 감미료 ( Artificial Sweetener )

 

우선, 인공 감미료 ( Artificial sweetener ) 는

그 이름 그대로 식품에 단맛을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학적 합성품으로

 

천연 감미료에는 설탕, 포도당, 꿀 등이 있지만,

인공 감미료에는 사카린,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이 있습니다.

 

 

천연감미료보다 단맛이 높아 한 때 식품공업 분야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었지만,

인체에 유해하다는 것으로 알려져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일부 인공감미료를 1일 기준치 내에서 섭취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려져

사용이 허가되고 있으며 그 중 오늘 소개해드릴 사카린은

식빵이나 이유식 을 제외한 식료품 들에 첨가물에 사용이 허가되어 다양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사카린 ( Saccharin ) 특징, 열량, 하루 섭취 허용량

 

사카린은 인공 감미료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화합물로

열량은 없다고 볼 수 있을만큼 거의 없으며 설탕보다 300-400배 단맛을 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무색이나 백색의 결정성 분말형태를 띄며 냄새는 거의 없고, 쓴 맛이 적으며

에탄올에는 녹지만, 물에는 잘 녹지 않습니다.

여기서, 물에 잘 녹아 감미료로 쓰이는 사카리는 용성 사카린 이라고 하는데,

용성 사카린의 경우 1만배 묽게 해도 단맛이 없어지지 않을 정도의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1일 섭취 허용량은 체중 1kg 당 약 5mg 이며

사카린은 열에 강하고, 다른 식품 원료들과 반응하지 않아 식품첨가제로서 매우 안정적입니다.

 

사카린의 맛

 

여기서, 사카린의 맛이 궁금한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

사카린의 맛은 길거리에서 파는 찐 옥수수의 달달한 맛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길거리에서 파는 찐 옥수수는 집에서 찐 옥수수와 달리 달달한 맛이 있죠?

 

 

사카린 부작용과 그 진실

 

과거, 사카린을 정말 쉽게 볼 수 있었을 시기의 사람들은

사카린이 인체에 유해하며 사카린 부작용 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으셨을텐데,

 

일부 사람들에게 사카린은 알러지 ( 알레르기 ) 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 증상으로는 피부 발진이나 메스꺼움, 호흡곤란, 설사, 두통 등이 있다고 합니다.

 

196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가공식품에는 사카린이 사용되었었는데요.

1970년대 캐나다 국립보건연구소 등이 동물실험을 통해 사카린이 암을 유발한다는 발암 의혹이 생기며

사용이 제한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이 실험은 수컷 쥐에 대한 암 유발 실험이었는데,

수컷쥐의 방광에 사카린을 직접 주사했으며 매일 다이어트제로콜라 50캔을 마신양과 맞먹는

17L의 어마어마한 양으로 무리하게 실험했고, 수컷쥐만이 가지고 있던 특이한 단백질이

사카린과 반응하여 방광염을 유발했다고 합니다.

 

암 유발 연구결과 이후에도 사카린에 관한 실험은 계속 진행되었었는데,

숱한 실험 및 연구 결과 끝에 사카린은 무해한 물질이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세계보건기구 ( WHO ) 에서는 사카린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연구 결과를 채택하고,

1993년부터는 1일 ( 하루 ) 허용 섭취량을 그 전보다 2배 늘렸으며

국제식품규격위원회 ( CAC ) 에서는 식품첨가물의 일반적인 사용기준 ( GSFA ) 에서

식품군에 대한 사카린의 사용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1999년 국제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 ( IARO ) 에서는

사카린을 발암 물질 항목에서 제외시켰고,

2000년 미국 FDA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는

사카린의 즉시 발암성 가능 문구를 담은 라벨링 의무 조항을 철폐하였으며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 ( EPA ) 에서도 인체와 환경 유해 물질 항목에서 삭제함으로써

 

사카린은 발암물질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다시 다양하고,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대한 당뇨병학회에서도 사카린 섭취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