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성분 - 에틸헥산다이올 (에칠헥산디올, Ethyl hexnediol)
( 위 사진은 글 내용과 큰 관련이 없습니다. )
제가 사용하는 화장품 성분에는 에틸헥산다이올이라 명시되어있는데,
구 명칭이 에칠헥산디올 이라고 합니다.
에틸헥산디올로 아시는 분도 있지만, 현 명칭은 에틸헥산다이올입니다.
( 에틸헥산다이올의 분자식 / 출처 : Skin Deep Cosmetic datavase)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에칠헥산디올은 지방족 알코올 성분으로 등재용도는 향, 용제 입니다.
화장품 속 다른 구성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용제로써,
또는 향을 적용하는 역할로써 사용됩니다.
( 출처 : Skin Deep Skin Deep Cosmetic datavase)
EWG 안정성 등급은 3으로 옐로네요.
1~10 등급까지 있고 1,2 등급이 그린등급인 거 생각하면
그리 나쁘진 않는 안정성이지만,
Data available 이 Limited 인 걸 보아 연구 결과 자료가 거의 없네요..
약간의 자료를 해석해본 결과, EWG SKIN DEEP 자료에 따르면
Organ system toxicity (non-reproductive)
기관계의 유독성
Limited evidence of eye toxicity (only for products for use around the eyes)
> European Union - Classification & Labelling
눈 주위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에는 인체 피부 독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유럽 연합에서는 분류 및 라벨을 표시한다고 하네요.
Classified as not expected to be potentially toxic or harmful
>Environment Canada Domestic Substance List
환경 캐나다 국내 물질 목록엔 무해하다고 하고요.
rritation (skin, eyes, or lungs)
피부, 눈과 폐에서의 자극성은
Classified as irritant
유럽에서 자극성으로 표시되며
Ecotoxicology
Not suspected to be an environmental toxin
환경독성은 없다고 하네요.
위험평가 방법에서 보고된 최대 사용 농도는 산업안전패널 (Cosmetic Ingredient Review, CIR)
- 제품의 암묵적 안전 농도 한계라고 합니다.
의견의 차이가 좀 있지만, 연구 결과 자료도 적어
어느 정도는 주의하는 게 좋겠죠?
특히 눈 주위에 사용하실 때요 ㅎ
'BEAUTY > 화장품 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약 성분 중 일불소인산나트륨 (Sodium monofluorophosphate) 에 대하여 (0) | 2020.02.08 |
---|---|
화장품 성분 원료 : 펩타이드 (peptide, 펩티드) (0) | 2020.02.06 |
화장품 성분 - 트레할로스 (Trehalose) (0) | 2019.02.26 |
화장품 성분 - 칼슘클로라이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 | 2019.01.02 |
ewg 등급이란?, 그린등급 매기는 기준 (0) | 2018.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