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g 등급이란?, 그린등급 매기는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EWG grade,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때, 종종 이용하는
EWG 등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WG는 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약자입니다.
환경 작업 그룹으로 번역되네요.
미국에서 환경과 건강을 위해 만들어진 비영리 환경 단체로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고, 등급을 매깁니다.
홈페이지 왼쪽 상단을 보시면 EWG's Skin Deep Cosmetics Datebase 라고 적혀있죠?
그럼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직접 성분을 연구하고 매기느냐?
아닙니다.
EWG 등급을 알아보기 위해 들어가보면,
It's our mission at Environmental Working Group to use the power of information to protect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EWG's Skin Deep database gives you practical solutions to protect yourself and your family from everyday exposures to chemicals. We launched Skin Deep in 2004 to create online profiles for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and their potential hazards and health concerns. Our aim is to fill in where industry and government leave off. Companies are allowed to use almost any ingredient they wish. The U.S. government doesn't review the safety of products before they're sold. Our staff scientists compare the ingredients on personal care product labels and websites to information in nearly 60 toxicity and regulatory databases. Now in its eighth year, EWG's Skin Deep database provides you with easy-to-navigate ratings for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ingredients on the market.
위와 같은 영문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번역하면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정보의 힘을 사용하는 것은 환경 작업 그룹의 임무입니다. EWG의 스킨 딥 데이터베이스는 화학 물질에 대한 일상적인 노출로부터 자신과 가족을 보호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2004년에 스킨 딥을 출시하여 화장품, 개인 케어 제품, 그리고 잠재적인 위험과 건강 문제에 대한 온라인 프로필을 만들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산업과 정부가 중단한 곳을 채우는 것이다. 회사들은 그들이 원하는 거의 모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제품이 판매되기 전에 제품의 안전성을 검토하지 않는다. 우리 직원 과학자들은 개인 관리 제품 라벨과 웹사이트의 성분들을 거의 60개의 독성 및 규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비교한다. EWG의 스킨 딥 데이터베이스는 8년째에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과 재료에 대한 탐색하기 쉬운 등급을 제공합니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EWG 등급 결정은 각 성분에 대해 전세계적인 여러 연구 단체가 발표한 안전성에 대한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EWG 비영리 환경단체가 결정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성분에 대해 안전성 연구 결과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아이러니하게도 EWG 그린등급 이라고 불리는 EWG 1 등급이 매겨져요.
연구 자료가 없어 유해 유무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주어지는 등급이 EWG 그린등급인 거죠.
물론, 자료들이 있는 진짜 안전한 성분들도 EWG 그린등급이에요.
그럼, 어떻게 이 결과들이 믿을만 한지, 알아볼 수 있는지 설명해드릴게요~
EWG 등급을 알아보기 위해 성분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안전성 등급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등급은 낮은 위험도로 안전 / 3~6등급은 중간 위험도로 보통 / 7~10등급은 높은 위험도로 위험하다는 건데,
그 밑에 보시면 Date 가 보이죠?
Date score key :
Data availability rating: the scope of ingredient safety data contained in Skin Deep®,
and the number of studies available in the open scientific literature.
이를 번역하면,
데이터 가용성 등급: 스킨 딥®에 포함된 성분 안전 데이터의 범위 및 열린 과학 문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구 수
입니다.
즉, 그 성분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자료가 얼마나 있는지를 뜻하죠.
Date : None 은 자료가 전혀 없다는 뜻으로 안전성 EWG등급에 대해 믿을 수 없고,
Date : Limited는 자료가 조금 있음 / Date : Fair은 적당히 있음
Date : Good 는 많이 있음 Date : Robust 는 매우 많이 있음을 뜻하기 때문에
Date 자료들의 양을 토대로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EWG 등급이 무엇인지, 믿을만한 정보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EWG 그린등급만을 확인하지마시고, 꼭 데이터, 정보 양까지 확인하셔서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BEAUTY > 화장품 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약 성분 중 일불소인산나트륨 (Sodium monofluorophosphate) 에 대하여 (0) | 2020.02.08 |
---|---|
화장품 성분 원료 : 펩타이드 (peptide, 펩티드) (0) | 2020.02.06 |
화장품 성분 - 트레할로스 (Trehalose) (0) | 2019.02.26 |
화장품 성분 - 에틸헥산다이올 (에칠헥산디올, Ethyl hexnediol) (0) | 2019.01.03 |
화장품 성분 - 칼슘클로라이드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0) | 2019.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