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활정보 준비했어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제품마다 차이가 있고,
보관을 잘 못 하면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음에도 음식을 먹을 수 없기도 하죠
하지만, 제대로 보관하거나 제품에 따라 냉동 보관을 하면
유통기한이 지나도 좀 더 오래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이 있어요 ㅎ
우선, 유통기한이란
말그대로 상품이 유통될 수 있는 기한으로
식품의 신선도를 나타내기도 하며
유통기한을 넘긴 식품의 경우 부패되거나 변질되지 않았더라도
판매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이 일반 식품보다 유통기한이 긴편이며
유통기한 표시방식이 안전성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식품 폐기에 대한 지적으로 인해
보건복지부는 2012년 7월부터 판매할 수 있는 유통기한과
먹어도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소비기한을 나눠 표기했다고 합니다
결론은
유통기한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한이며
소비 기한은 해당 상품을 먹어도 소비자의 건강이나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인정되는 최종 시한 입니다
추가로 2023년부터는 ' 유통기한 ' 대신 ' 소비기한 ' 을 표시하는
식품 표시제가 변경된다고 하네요
아직은 식품표시제가 바뀌기 전이라
아무래도 유통기한이 짧은 우유, 두부, 치즈, 계란, 어묵 등과 같은 식품에 대한 소비기한을
궁금해하실 분들이 많은데, 그 외에도 몇 개 정리해보겠습니다 :)
우유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45일,
두부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3개월 정도이며
순두부 소비기한도 두부와 같은 유통기한 후 3개월 ( 90일 )
치즈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70일,
계란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25일 입니다
요거트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10일,
라면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6~8개월 ( 봉지라면 ),
컵라면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5개월 정도,
라면 중 건면의 경우 유통기한 후 50일 정도,
햄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7일이며
통조림 햄의 경우 개봉하지 않은 상태라면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1년 이상,
식빵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20일,
만두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25일,
냉동만두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1년 이상,
콩나물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14일 정도 입니다
액상커피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1개월,
어묵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2~3일,
과자 소비기한은 보관이 잘 된 경우 길게 잡으면 6개월 정도,
요구르트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20일 정도,
고추장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2년 이상이며
김치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6개월 이상,
참치캔 소비기한은 개봉하지 않은 상태라면 유통기한 후 10년 이상,
된장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2년 이상 ( 냉장 보관 ),
다진마늘 소비기한은 냉장보관 시 유통기한 후 90일,
시리얼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3개월 입니다
참기름 소비기한은 유통기한 후 2년 6개월정도,
식용유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지난 후 5년정도,
하지만, 소비기한이 남아있다고 해도 식품의 상태가 변질되었다면
절대 섭취하시면 안됍니다!
'정보 창고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사전예약 확인 조회 방법 ( 예약 취소 문자를 받으면 확인하세요 ) (0) | 2021.08.14 |
---|---|
함께 쓰면 안 되는 ' 개인 용품 ' 10가지 (0) | 2021.08.12 |
온수매트 보관법 & 청소 방법 (0) | 2021.08.03 |
1988~2021 최저임금 변천사 (0) | 2021.07.31 |
남은 맥주, 김빠진 맥주 활용법 13가지 (0) | 2021.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