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매일 사용하시는 치약에 대해 설명해볼까 합니다.
보통 성인이 쓰는 치약들은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 불소치약인데,
저불소치약, 무불소치약은 왜 나온 것이고,
어떤분들이 쓰면 좋으며 불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길레 보통 불소치약을 쓰는지와 함께
저불소치약이나 무불소치약을 사용해야 하는 분들을 위한 불소의 부작용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불소 ( 플루오린, FLUORINE ) 란?
우선, 불소 (Fluorine) 란 플루오르, 플루오린 이라고도 불리는 강력한 할로겐 원소 입니다.
다른 할로겐족 원소들과 마찬가지로 불소는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을 채우기 위해
하나의 전자를 더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소 상태의 반응성이 매우 크며
불소 원자는 다른 원자로부터 쉽게 하나의 전자를 받아들여 음이온이 됩니다.
불소 자체의 반응성이 매우 크지만, 불소 이온은 전자껍질이 모두 채워져 있어 매우 안정하죠.
이런 어려운 얘기 말고, 좀 더 쉽게 접근해볼까요?
불소는 그 자체로 존재하지는 않고, 자연계에서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많이 들으셨던 것처럼 치약의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불소 이온은 치아우식증. 즉, 충치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성인 분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불소의 효과
불소 치약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충치의 예방법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치약의 성분으로 사용되어 있으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양치. 즉, 칫솔질의 빈도와 방법에 따라
충치예방 효과는 15~30%정도에 달한다고 발표했었습니다.
불소치약을 이용하게 되면 불소가 치아에 도포됨으로써
치아 표면을 단단하게 해주어 산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기 때문에 충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FDI 라고 불리는 세계치과연맹 에서도 적정량의 불소는
충치예방에 도움이 되며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불소함유 치약의 충치예방 효과는 치약에 함유된 불소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인 치약의 불소 함량인 1,000ppm~1500ppm의 불소를 함유한
치약을 사용하시면 충치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치약에서 불소의 표기법
하지만, 우리가 치약을 볼 때, 치약의 전성분을 보시면 ' 불소 ' 라는 단어만은 찾을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이 불소이온은 불소화합물로서 치약의 성분으로 사용되며
치약에서 보통 ' 플루오르화석, 일불소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나트윰, 플루오르화아민297 ' 등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화합물의 명칭 중 ' 불소 ' 라는 단어가 들어갔거나 ' 플루오르 ' 라는 단어가 들어간 것을
확인해주시면 보다 쉽게 알 수 있겠네요.
저불소치약 & 무불소치약
그렇다면, 저불소치약과 무불소치약은 어느정도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는지도 알아볼까요?
말그대로 불소함유량이 낮거나 없는 치약인 저불소치약과 무불소치약은
각각 500ppm, 0ppm 정도 불소가 함유되어 있지만, 치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먼저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는 것이 좋으며
보통 무불소치약은 유아들의 치약으로, 저불소치약은 어린이치약으로 사용됩니다.
불소의 부작용과 그에 따른 치약의 섭취량 ( 부작용이 나타나는 불소의 섭취량 )
마지막으로 불소의 부작용까지 알아볼까요?
불소는 보통 치약하면 떠오르기 쉬우며 치약은 양치, 칫솔직을 할 때 입 안을 하기 때문에
섭취하기 워낙 쉬워 걱정이 될 수 있지만, 치약에 함유된 불소를 조금 먹는다고 불소 중독이 되진 않습니다.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크며
혹시나 하는 염려로 인해 유아, 어린이들에겐 보통 무불소치약, 저불소치약을 이용하는 거죠.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불소 중독과 같은 불소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이는 보통 몸무게 1kg 당 5mg 이상을 섭취했을 때로,
20kg의 아이의 경우는 100mg의 불소를 한 번에 섭취했을 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불소 100g의 치약양은 불소함량 1,000ppm 정도의 성인 불소치약을 기준으로
치약의 용량이 100g 정도 된다는 가정하에 20kg의 아이가 한 번에 2개양의 치약을 먹는 정도라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불소의 부작용인 불소 중독의 증상도 살펴보자면
불소에 중독되면 위장장애나 속이 울렁거리는 현상 및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워낙 많은 양의 불소를 한 번에 섭취했을 때 일어나는 일이긴 하지만,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는 혹시 모르니 양치를 할 땐, 아이들에게 더욱 신경을 쓰시는 것이 좋겠죠?
'정보 창고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물부족국가? 오해와 진실 (0) | 2020.05.11 |
---|---|
개별인증번호 모를 때, 근로장려금 쉽게 신청하는 법 ( 대상자 확인 ) (0) | 2020.04.29 |
겨울철, 여름철 온도에 따른 적정 실내습도 & 적정온도 (0) | 2020.04.28 |
아이폰 풀커버 강화유리 케이스 장, 단점 (0) | 2020.04.26 |
카카오뱅크 은행코드 번호 ( 기업은행 등 전국, 지방 ) (0) | 2020.04.11 |
댓글